봄철
- 유행성이하선염(Mumps)
- 유행성이하선염 바이러스(Mumps virus)감염에 의하여 나타나는 이하선 부종이 특징적인 급성 발열성 질환
감염경로
- 비말핵 등 공기전파
- 환자의 타액에 직· 간접적으로 접촉
잠복기
- 14일~21일
주요증상
- 전구증상 : 1~2일간의 발열, 두통, 근육통
- 침샘(주로 귀밑샘)을 침범하여 동통, 압통 유발
- 뇌수막염, 고환염, 난소염, 췌장염 등 합병증 유발
예방
- 정해진 시기에 예방접종 실시
- MMR백신을 생후 12~15개월, 만4~6세에 접종
- 호흡기 격리 - 이하선염이나 다른 증상 발현 후 9일까지
- 환자의 코나 목의 분비물로 오염된 물품 소독
- 수두(Varicella)
- 수두 바이러스(Varicella Zoster Virus)에 의한 급성 발진성 감염병
감염경로
- 수포액의 직접접촉이나 공기를 통한 전파
잠복기
- 10일 ~ 21일
주요증상
- 전구증상 : 발열, 권태감, 식욕부진 등
- 발진 -> 3~4일간의 수포(물집)기 -> 가피(딱지)
예방
- 예방접종 : 생후 12~15개월의 모든 건강한 소아
- 환자격리 : 모든 피부 병변에 가피가 생길 때까지 격리
- 임산부는 수두환자와 접촉하지 않도록 주의
※감염 시 신생아 선천성수두증후군 발생 가능
여름철
- 레지오넬라증(Legionellosis)
- 병원성 레지오넬라균(Legionella species)감염에 의한 급성 호흡기 질환
감염경로
- 대형건물의 냉각탑수, 에어컨디셔너, 샤워기, 중증 호흡 치료기기, 수도꼭지, 장식분수, 분무기 등의 오염된 물 (냉각탑수 등)속의 균이 비말 형태로 인체에 흡입되어 전파됨
잠복기
- 폐렴형 : 2일~11일, 평균 7일
- 독감형 : 5시간~65시간, 평균 36시간
주요증상
- 폐렴형 : 발열, 오한, 기침, 근육통, 두통, 전신 쇠약감, 식욕부진, 위장관 증상, 흉부X-선 상 폐렴
- 독감형 : 권태감, 근육통, 갑자기 발열 및 오한, 인후통, 콧물, 설사 , 어지러움
예방
- 대형 냉각탑 및 저수 탱크의 청소(연2~4회)와 소독
- 에어컨의 필터, 물받이 등 청소(주1회이상) 및 소독
- 가습기의 내부 청결유지 및 신선한 물 사용
- 말라리아(Malaria)
- 말라리아 원충이 적혈구 또는 간세포 안에 기생하면서 적혈구를 파괴, 주기적인 열발작을 일으키는 급성열성 전신 감염증
감염경로
- 말라리아 원충에 감염된 모기가 사람을 흡혈하여 전염. 드물게 수혈, 주사기 공동사용으로도 전파가능
잠복기
- 삼일열 원충(우리나라 토착 말라리아) : 단기-7일~20일, 장기-9개월~10개월
- 난형열 원충 : 단기-8일~14일, 장기-6개월~11개월
- 열대열 원충 : 7일~14일
- 사일열 원충 : 7일~30일
주요증상
- 삼일열 말라리아 : 오한, 발열, 발한 후 해열이 반복
- 난형열 말라리아 : 삼일열 말라리아와 유사
- 열대열 말라리아 : 초기증상은 삼일열 말라리아와 유사, 오한, 기침, 설사를 보이고 중증이 되면 황달, 응고장애, 신부전, 간부전, 쇼크, 의식장애
예방
- 모기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
- 긴 소매, 긴 바지를 입어 노출 부위를 줄이고 노출 부위는 모기 기피제를 도포함 (매개 모기는 보통 해질 무렵부터 새벽 사이에 활동함)
- 방충망, 모기장 사용
예방적 화학요법
- 위험지역 해외 여행시 1주전부터 예방적 약물 복용
- 비브리오패혈증(Vibrio vulnificus sepsis)
- 비브리오 불니피쿠스균(Vibrio vulnificus)감염에 의한 급성 패혈증
감염경로
- 오염된 어패류를 생식하거나 상처난 피부가 오염된 바닷물에 접촉할 때 감염되며, 사람간전파되지 않음
잠복기
- 20시간~48시간
주요증상
- 복통, 급성 발열, 오한, 혈압 저하, 구토, 설사, 하지부종, 반상출혈, 수포, 궤양, 괴사
예방
- 고위험군 환자는 어패류 생식을 피하도록 교육
- 피부에 상처가 있는 사람은 오염된 바닷물과 접촉 금지
- 여름철 어패류는 가급적으로 -5℃ 이하로 저온 저장, 또는 60℃ 이상으로 가열 처리하거나 수돗물에 씻은 후 섭취
- 수족구병(Hand, foot and mouth disease)
- 엔테로바이러스군(Enterovirus group)에 속하는 바이러스에 의해 주로 소아에게 유행하는 급성 바이러스 질환
감염경로
- 환자의 대변 또는 호흡기 분비물(침, 가래, 콧물)접촉이나 환자와의 직접 접촉으로 전파
잠복기
- 3일~7일
주요증상
- 발열, 인후통, 식욕부진 등으로 시작
- 열이 나기 1~2일 후 구강내 통증성 피부병변이 혀, 잇몸, 뺨 안쪽에 발생, 작고 붉은 반점으로 시작하여 물집이 되고 간혹 궤양으로 발전
- 피부발진이 주로 손바닥과 발바닥 등에 생김
예방
- 환자와의 접촉을 피하고, 외출 후 양치질 및 손씻기
- 환자의 배설물이 묻은 옷 등은 철저히 소독하기
- 배변 후 또는 식사 전후에 손씻기
- 기저귀 갈아줄 때마다 손씻기
- 장난감이나 놀이기구 등 청결유지
- 일본뇌염(Japanese encephalitis)
- 일본뇌염 모기가 산란기에 감염된 돼지를 흡혈한 후 사람을 흡혈하여 전염시키는 급성중추신경계 감염질환
감염경로
- 감염된 돼지를 흡혈한 작은 빨간집 모기가 사람을 흡혈하여 전염
잠복기
- 7일~14일
주요증상
- 고열, 두통, 현기증, 구토, 복통, 지각이상 등 95%는 무증상이나 발병하게 되면 높은 치명률, 합병증(연축성마비, 중추신경계 이상, 기면 등)
- 회복 후 20~30%정도는 후유증(기억력 상실, 판단력 저하, 운동장애 등)
예방
- 모기를 매개로 하는 질환으로 모기 박멸이 중요
- 모기 활동시간인 새벽과 해가 진 무렵 저녁에 야외활동을 자제
- 예방접종 일정에 따라 예방접종
가을철
- 신증후군출혈열(Hemorrhagic Fever with Renal Syndrome)
- 한탄 바이러스(Hantan virus)와 서울 바이러스(Seoul virus)등 감염에 의한 급성 발열성 질환
감염경로
- 감염된 설치류(등줄쥐, 집쥐)의 소변, 대변, 타액 등으로 분비되는 바이러스를 흡입하여 감염됨
잠복기
- 2~3주
주요증상
- 발열기(3~5일) : 갑작스런 발열, 오한, 근육통, 얼굴과 몸통의 발적, 혈소판 감소, 단백뇨 등
- 저혈압기(1~3일) : 저혈압, 쇼크, 출혈반
- 핍뇨기(3~5일) : 무뇨, 요독증, 신부전, 객혈, 폐부종
- 이뇨기(7~14일) : 신기능 회복으로 다량의 배뇨
- 회복기(3~6주) : 전신 쇠약감을 호소하나 서서히 회복
예방
- 늦가을(10~11월)과 늦봄(5~6월)의 건조기에 잔디 위에 눕기 금지
- 야외활동 후 귀가 시 옷에 묻은 먼지를 털고 샤워 등 청결에 주의
- 감염 위험성이 높은 사람(군인, 농부 등)은 예방접종
- 쯔쯔가무시증(Scrub typhus)
- 주로 9~11월에 주로 발생하는 쯔쯔가무시균에 감염된 털진드기 유충에 물려 감염되는 급성 열성 감염병
감염경로
- 감염된 털진드기 유충이 사람을 물어 전파됨
잠복기
- 6일~18일
주요증상
- 진드기 유충에 물린 부위에 나타나는 가피 형성이 특징적임
- 두통, 발열, 오한, 발진, 림프절 종대
예방
- 풀밭에서 옷을 벗어 놓거나 눕지 말 것
- 등산, 캠핑 등 야외 활동 시 기피제를 뿌리고 긴 소매, 긴 양말을 착용
- 작업 및 야외 활동 후 샤워나 목욕으로 진드기를 제거하고 작업복은 바로 세탁
- 풀 숨에서 용변을 보지 말 것
겨울철
- 인플루엔자(Influenza)
- 독감.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전염병이 강한 급성호흡기질환으로 항원변이를 일으켜 면역력이 없는 인간집단에 대규모 유행을 일으킬 수 있음.
감염경로
- 환자의 호흡기 비말 등을 통한 공기매개 감염
잠복기
- 1일~3일
주요증상
- 38℃ 이상의 갑작스런 발열, 두통, 근육통, 피로감 등의 전신증상과 기침, 인후통, 객담 등의 호흡기 증상을 보임
예방
- 노약자, 만성질환자 등 예방접종 권장대상자는 예방접종 실시
- 자주 손씻기, 양치질하기 등 개인위생수칙 준수
- 기침이나 재채기 시 손수건이나 휴지로 입을 가리고 하기
- 기침과 같은 호흡기 증상이 있는 경우 마스크 착용
- 인플루엔자가 유행 시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장소의 방문은 피하기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
- A형 간염(Viral hepatitis A)
- 최근 20~30대의 젊은 층에서 환자 발생이 증가하고 있는 A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감염성 간질환
감염경로
- A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해 오염된 음식물에 의해 전파됨
- 환자의 대변을 통한 경구 감염, 주사기를 통한 감염(습관성 약물 중독자), 혈액제제를 통한 감염
잠복기
- 15일~45일
주요증상
- 발열, 식욕감퇴, 구역, 구토, 쇠약감, 복통, 설사 등 다른 바이러스 간염과 유사
예방
- 환자의 장내배설물 격리, 손씻기, 식수원 오염방지, 식품 및 식품 취급자 위생관리
- A형 간염 백신 접종
- 세균성이질(Shigellosis, Bacillary dysentery)
- 이질균(Shigella spp.)감염에 의해 급성 염증을 일으키는 열성 설사를 특징으로 하는 질환
감염경로
- 감염인이 조리한 음식이나 오염된 물을 통해 대규모 감염
- 화장실 손잡이나 타월을 통해서도 감염
- 바퀴벌레, 파리에 의한 전파
잠복기
- 12시간~7일
주요증상
- 고열, 구역질, 구토, 경련성 복통, 후중기를 동반한 설사
- 대변에 혈액이나 고름이 섞여 나옴
예방
- 환자는 격리치료
- 환자의 장내배설물에 대한 철저한 격리가 필요
- 음식을 만들기 전 또는 배변 후에는 손을 깨끗이 씻음
- 유행지역에서는 물을 반드시 끓여 먹고 조리사나 식품유통업자는 식품을 적절히 냉동하고 항상 청결을 유지
- 보균자는 식품을 다루는 업무나 환자의 간호에 종사해서는 안됨
- 장출혈성대장균(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감염증
- 장출혈성대장균(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감염에 의하여 출혈성 장염을 일으키는 질환
감염경로
- 오염된 고기를 덜 익혀 먹었을 때(생간, 육회, 덜 익힌 육류 등)
- 오염된 조리기구의 사용(칼, 도마 등)
- 충분히 멸균되지 않은 우유, 쥬스 등
- 오염된 호수, 풀장에서의 수영
- 오염된 식수, 환자 또는 보균자에 의한 2차 감염
잠복기
- 2일~8일
주요증상
- 오심, 구토, 비 혈변성 설사
- 복통, 미열, 오심, 구토, 수양성 설사에서 혈성 설사로 이행
- 합병증 : 용혈성요독증후군, 혈전성혈소판감소성자반증 등
예방
- 환자는 격리치료
- 환자의 장내배설물에 대한 철저한 격리가 필요
- 육류제품은 충분히 익혀 섭취
- 날 것으로 섭취하는 야채류는 염소 처리한 청결한 물로 잘 씻어 섭취
- 철저한 개인위생(손 씻기 등)
- 장티푸스(Typhoid fever)
- 장티푸스균(Salmonella Typhi)감염에 의한 급성 전신성 발열성 질환
감염경로
- 식수, 식품을 매개로 전파됨
- 주로 환자나 보균자의 대·소변에 오염된 음식물이나 물에 의해 전파됨
잠복기
- 3일~60일
주요증상
- 고열, 서맥, 두통, 간장·비장 종대
- 합병증 : 장천공 및 장출혈, 담낭염, 독성뇌병증, 뇌혈전증 등
예방
- 환자는 격리치료
- 환자의 장내배설물에 대한 철저한 격리 필요
- 개인위생 및 철저한 환경위생이 가장 중요
- 예방접종(고위험군에만 접종함)
- 장티푸스 보균자 가족, 장티푸스 유행지역 여행자, 집단급식소 종사자, 식품위생접객 업소종사자, 불안전 급수 지역주민 및 급수시설 종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