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구치매안심센터 사업안내
치매예방 인식개선사업
- 치매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인식을 확산시키고, 정확한 치매 관련 지식과 정보를 널리 보급함으로써 치매예방 및 체계적 치료관리가 가능한 사회분위기를 조성하고자 함.
치매예방 인식개선사업에 대한 구분, 내용, 일시 구분 내용 일시 해피브레인
치매교육- 치매의 전반적인 이해
- 인지프로그램 체험
매월 2,4주 금요일 오후2시 뇌튼튼교실 건강관련 주제로 진행되는 전문의 건강강좌 홀수월 첫째주 월요일 오후1시30분 기억친구 기억친구 교육(1시간)을 받은 후 치매에 관한 올바른 지식을 가지고, 지역의 치매환자 및 가족을 따뜻한 마음으로 도와주는 사람 * 용산구치매안심센터에서 진행되는 교육을 통하여 신청이 가능하며, 교육일정은 센터 사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습니다. 기억친구 리더 기억친구 리더 교육(5시간)을 받은 후 연 1회 이상 기억친구 양성 교육의 강사 역할을 하는 사람
치매조기검진사업
- 60세 이상 어르신을 대상으로 치매예방 조기검진을 실시하여 치매 유병율 감소 및 노후의 건강 수명 유지 증진으로 삶의 질 향상.
- 치매선별검진안내
- 대상 : 용산구 거주 60세 이상 어르신
- 일시 : 월~금 오전 9시~오후 6시 *검진예약전화 02-790-1541
- 장소 : 용산구치매안심센터
- 검진도구 : 인지선별검사(CIST:Cognitive Impairment Screening Test)
(선별검진 및 정밀검진은 무료, 치매원인 확진을 위한 MRI, 혈액검사시 저소득층 검사비 지원)
- 치매선별검진안내
치매예방등록관리사업
- 1. 치매치료비지원
- 치료비 자부담이 어려운 저소득층 치매 환자 가족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치매치료비 중 본인부담금을 일정 부분 지원해 주는 서비스
- 지원대상 : 아래 기준 ①~④을 모두 충족하는 자
- ①연령기준 : 만 60세 이상인자(초로기 치매환자는 예외적으로 선정 가능)
- ②진단기준 : 의료기관에서 치매로 진단을 받은 치매환자
- ③치료기준 : 치매 치료약 복용하는 자
- ④소득기준 : 2022년 기준 중위소득 120%이하인 자
(단위:원)
18년도 치매치료관리비지원 대상 건강보험료 본인부과액 기준에 관한 표입니다. 총 10열로 되어 있으며, 1열은 가구원 수, 2열은 1인, 3열은 2인, 4열은 3인, 5열은 4인, 6열은 5인, 7열은 6인, 8열은 7인, 9열은 8인, 10열은 9인의 기준액의 내용이 있습니다. 가구원 수 1인 2인 3인 4인 5인 6인 7인 8인 9인 직장가입자 82,112 137,178 177,454 216,279 254,658 296,681 334,652 370,489 434,898 (92,187) (154,010) (199,228) (242,816) (285,905) (333,084) (375,714) (415,948) (488,260) 지역가입자 36,122 129,070 184,453 233,478 281,796 330,939 369,311 408,122 472,366 (40,554) (144,907) (207,085) (262,126) (316,372) (371,545) (414,625) (458,199) (530,325) [22년도 치매치료관리비지원 대상 건강보험료 본인부과액 기준]
※( )안은 노인장기요양보험료 포함 금액 - 지원금액 : 월 3만원(연 36만원) 한도 내 당월 건강보험 본인부담금
- 제출서류 :
- 치매치료비 지원 신청서
- 대상자 본인 명의 통장 사본 1부
※대상자와 가족 관계가 확인되는 가족의 통장 사본 제출 가능
※해약계좌,압류계좌,타행이체 거래불가계좌, 행복지킴이통장(압류방지)은 등록불가 - 당해 연도에 발행된 치매치료제가 포함된 약 처방전 또는 약품명이 기재된 약국 영수증
- 2. 치매가족모임
- 치매가족들이 모여 서로의 경험담을 이야기하고 치매환자에 대한 조호 방법을 공유하고 조호자에 대한 적극적인 지지를 통한 스트레스 경감.
- 비대면 가족프로그램
코로나19 확산으로 화상회의 프로그램(zoom 등)을 활용하여 가족교육, 자조모임, 힐링프로그램을 진행. 가족간의 지속적인 쌍방향 의사소통이 가능하게 함
- 3. 조호물품 제공
- 월1회 치매가족모임에 참여하는 가족들과 저소득층을 우선으로 조호물품 제공.
- 종류: 기저귀, 방수패드, 식사에이프런, 미끄럼방지양말
- 4. 방문간호
- 치매관리 사업으로 발굴된 대상자 및 가족에게 가정방문을 실시하여 조호문제 점검, 상담 및 검진, 환자의 기능평가, 가족과 함께 조호계획 세우기 등을 통해 가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의 적절한 대처법을 알려주며 주기적인 평가를 통한 환자와 가족의 일상생활에 활력소를 제공하기 위함.
- 5. 사례관리
- 치매환자의 안녕을 도모하기 위한 사업으로 치매환자의 기능 및 삶의 질 향상, 치매 가족의 조호 능력향상 및 부담경감, 지역연계 강화를 통한 부담경감을 목적으로 실시함.
- 대상 : 사례관리에 동의한 관내 치매환자 및 가족
- 사례관리 기간 : 3월~12월
- 사례관리 수행자 : 사업 담당자 및 치매전문자원봉사단
- 사례관리 내용
- 상황 및 환경사정, 문제 및 욕구 사정
- 서비스 제공 계획 수립
- 치매환자 및 가족의 서비스 연계
- 서비스 점검 및 사후관리
- 사례회의
- 6. 치매노인 실종예방 서비스
- 보호자로부터 이탈된 실종노인의 조속한 발견과 복귀를 지원함으로써 치매 노인을 안전하게 보호하고자 함.
- 신청방법 : 대상자 및 보호자의 신분증 사본, 가족관계증명서 또는 주민등록등본을 지참하여 치매센터로 방문접수
*종류 : 배회인식표, 위치추적기, 지문등록
인지건강센터 운영
- 작업치료 및 비약물적 치료 프로그램과 예방 프로그램을 통하여 치매를 예방하고, 조기개입을 통해 기억력 및 집중력, 실행능력 등의 인지기능 유지, 신체적, 정신적 건강 증진 및 중증치매로의 이환을 지연시키고자 함.
인지건강센터 운영의 구분, 프로그램명, 내용, 일시 구 분 프로그램명 내 용 일 시 치매
환자
쉼터대상 : 치매
- 비·상(비대면을 통한 상상력 쑥쑥)ZOOM프로그램을 통한 작업, 운동, 음악 등 온라인 쌍방향 소통프로그램 진행 상시 운영 인지
강화
교실대상 : 치매고위험
- 비·상(비대면을 통한 상상력 쑥쑥)ZOOM프로그램을 통한 작업, 운동, 음악 등 온라인 쌍방향 소통프로그램 진행 상시 운영 치매
예방
교실대상 : 정상
- 한글교실(한글나래)
- 기억지킴교실(비대면)-초등과정 성인문해 교과서를 이용하여 문장 이해하기, 책 읽고 쓰기 등
-치매예방을 위한 다중영역 개입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치매위험요인 사전관리 강화와 생활습관 개선을 통해 치매발생 위험률 감소상시 운영
지역사회자원강화사업
- 지역사회 유관시관 연계 및 협조체계를 구축하여 구민들이 보다 편안하게 양질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는 사업으로 지역사회 치매관련 자원 협의체 구성 운영, 치매전문 자원봉사자 운영, 치매홍보 서포터즈 운영
- 1. 자원봉사자 모집
- 모집기간 : 연중 수시모집
- 모집대상 : 치매에 관심 있는 중. 고등학생, 대학생, 일반인 누구나 가능
- 모집인원 : 분야별 00명
- 활동시간 : 9시 ~ 17시
- 2. 자원봉사자 운영
자원봉사자 운영 분야와 활동내용 분 야 활동내용 센터 내 안내 센터를 방문하는 내소객에게 센터 안내, 선별검진 보조 인지건강센터
프로그램 보조미술치료, 작업치료, 원예치료 등 프로그램 진행 및 보조 행사지원 교육, 치매인식개선 캠페인, 치매선별검사 출장검진 보조 행정사무보조 차트정리, 행정업무 보조 치매가정방문활동 간호사와 함께 말벗서비스, 1:1 인지건강프로그램 제공 등 띠링띠링 콜센터 검진안내 및 전화상담 기억키움학교 프로그램 보조 경증 치매어르신 이용 프로그램 보조 e-희망교실 가족상담 치매가족상담(인터넷 활용)
- 1. 자원봉사자 모집
치매환자쉼터 운영
- 노인장기요양보험 신청자 중 등급 외 또는 미신청자 경증치매어르신을 대상으로 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중증화를 예방하고 치매어르신 가족들의 돌봄 부담을 줄여 건강한 가족관계를 형성하는데 기여하고자 함.
기억키움학교 운영의 구분, 프로그램명, 내용, 일시 구 분 프로그램명 내 용 신체활동 걷기활동 걷기 활동을 통한 유산소 운동 운동치료 스트레칭을 통한 건강 체조 및 인지 자극 운동 실버체육 근력 및 균형감각 증진을 위해 다향한 도구를 이용한 능 인지프로그램 작업치료 주의집중력, 기억력, 실행능력 등 인지자극활동 및 ADL활동 CoTras-G 전산화인지치료 및 인지재활 훈련 원예치료 신체적, 정서적 자극을 위한 식물 기르기와 꽃 장식 등의 원예활동 미술치료 심리적 스트레스 이완을 위한 민화 그리기, 콜라쥬, 공동작품 만들기 등의 미술활동 음악치료 40~50년대 노래를 통한 인지자극 및 다양한 악기연주 공예교실 가죽공예, 바느질, 냅킨공예 등의 수공예 활동 책 읽는 교실 전래 및 현대동화를 듣고 이야기 나누며 나의 기억 회상활동